원어: Socialtjänstlagen
분류: 사회복지 서비스법
스웨덴의 사회복지 서비스법 (Socialtjänstlagen, 소시알*테엔스트라겐)은 스웨덴 사회에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법률입니다. 이 법은 시민의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982년에 발효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까지 스웨덴 사회복지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1956년, 이전의 빈민 구호 제도를 대체하는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 원조법]] (socialhjälpslagen, 소시알*옐프슬라겐)이 도입되었습니다.
사회복지 서비스법은 1979년 6월 28일 스웨덴 정부에 의해 제안되었고, 1982년에 발효되어 기존의 [[아동 보호법]] (barnavårdslagen, 바르나보르슬라겐), [[금주법]] (nykterhetsvårdslagen, 뉘크테르헤츠보르슬라겐), 사회 원조법을 대체했습니다. 이 법의 시행으로 사회복지 서비스의 방향은 통제적이고 지시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실업은 사회 원조를 받을 수 있는 정당한 사유가 되었으며, 이는 특히 경기 침체기에 중요한 변화였습니다.
이후 사회복지 서비스법은 [[사회복지 시행령]] (socialtjänstförordningen, 소시알*테엔스트포르오르드닝엔) (1981:750), [[특정 경우의 약물 중독자 보호법]] (Lag om vård av missbrukare i vissa fall, 1988:870), [[청소년 보호 특별 규정법]] (Lag med särskilda bestämmelser om vård av unga, 1990:52), [[특정 기능 장애인을 위한 지원 및 서비스법]] (Lagen om stöd och service till vissa funktionshindrade, 1993:387) 등으로 보완되었습니다.
2007년에는 법 5장 11조가 개정되어, 범죄 피해자에 대한 지원 및 도움을 제공하는 지방 자치 단체의 책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폭력 피해 여성과 폭력을 목격한 아동은 지원과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도록 했습니다. 2013년에는 아동의 권리가 더욱 강화되어, "폭력을 목격한 아동은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과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 명시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에는 사회 위원회의 책임이 확대되어, "사회 위원회는 배우자에게 폭력이나 기타 학대를 가하는 사람이 자신의 행동을 바꾸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5장 11a조에 추가되었습니다.
2017년, 정부는 [[마르가레타 빈베리]] (Margareta Winberg, 마르가레타 빈베리)를 사회복지 서비스법 및 사회복지 업무의 일부를 검토하는 특별 조사관으로 임명했습니다. 최종 보고서인 “지속 가능한 사회복지 - 새로운 사회복지 서비스법” (Hållbar socialtjänst – En ny socialtjänstlag, 2020:47)은 2020년 8월에 제출되었습니다.
이 법은 각 [[지방 자치 단체]] (kommun, 콤문)가 변화하는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기본법]] (ramlag, 람라그)입니다. 법의 첫 번째 조항인 포털 조항은 활동을 지배하는 전반적인 목표와 가치를 명시합니다.
1조 사회의 사회복지 서비스는 민주주의와 연대의 원칙에 따라 다음을 증진해야 합니다.
사회복지 서비스는 개인의 책임과 타인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개인과 집단의 자원을 해방하고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활동은 사람들의 자기 결정권과 존엄성을 존중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90세 여성은 자택에서 홈 케어 서비스를 받는 것만으로는 적절한 생활 수준을 보장받을 수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따라서 그녀는 사회복지 서비스법에 따라 [[특별 주거 시설]] (särskilt boende, 세르실트 보엔데)의 형태로 지원을 받을 자격이 있었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는 사회복지 서비스법에 따라 사립 기관에서 심리 치료를 제공할 의무가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신청자의 상태가 [[스웨덴 렌팅]] (Sveriges landsting, 스베리에스 란스팅)이 제공할 수 있는 치료를 기다릴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법률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 진술은 [[최고 행정 법원]] (Högsta förvaltningsdomstolen, 획스타 포르발트닝스돔스톨렌)이 확립된 관행에서 벗어나도록 하지 않았습니다.
[[아동]] (barn, 바른)과 관련된 조치가 있을 경우, 지방 자치 단체는 아동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동은 18세 미만의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
스웨덴의 사회복지 서비스법은 한국의 사회복지 관련 법률과 비교하여,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 방식, 대상, 그리고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역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웨덴의 사회복지 시스템이 시민의 권리를 강조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식은 한국 사회복지 정책에도 참고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