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S&P 500
분류: 미국의 주가지수
S&P 500 (Standard & Poor’s 500, 스탠다드 앤 푸어스 500)은 미국 증시에 상장된 500개의 대형 기업의 주식 가격을 종합하여 산출하는 주가 지수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지표 중 하나로, 투자자와 경제 분석가들에게 널리 사용됩니다.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지수 다음으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지수입니다.
- 구성 종목: 뉴욕 증권 거래소 (NYSE) 또는 나스닥 (NASDAQ)에 상장된 500개의 미국 기업.
- 선정 기준: S&P 500 지수를 관리하는 위원회가 기업의 시가총액, 유동성, 소재지, 공개 주식 수, 산업 분류, 재무 건전성, 주식 거래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 시가총액 가중 방식: 지수는 각 기업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됩니다. 즉, 시가총액이 큰 기업의 주가 변동이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관리 기관: S&P 500 지수는 S&P Dow Jones Indices (S&P 다우 존스 지수)에서 관리하며, McGraw Hill Financial (맥그로힐 파이낸셜)이 주요 주주입니다.
S&P 500 지수는 1957년에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지수를 개발한 Standard & Poor’s (스탠다드 앤 푸어스)는 1923년부터 주식 지수를 발표해 왔습니다. 1957년, 기술 발전으로 지수가 실시간으로 계산되고 널리 보급되면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 IT 버블 붕괴 (2000년): 2000년 3월 24일, 지수는 1,557.87로 최고점을 기록했지만, IT 버블 붕괴로 인해 2002년 10월 10일에는 768.63까지 하락했습니다.
- 금융 위기 (2007-2008년): 2007년 중반부터 시작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미국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고, 2008년 9월에는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지수가 크게 하락했습니다. 2009년 3월 9일에는 676.53으로 13년 만에 최저점을 기록했습니다.
- 미국 경제의 대표 지표: S&P 500은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간주됩니다.
- 투자 지표: S&P 500을 추종하는 다양한 상장지수펀드 (ETF) 및 펀드가 있어,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시장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글로벌 시장의 영향력: S&P 500의 변동은 전 세계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 미국 주식 투자: 한국 투자자들도 S&P 500을 추종하는 ETF나 펀드를 통해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경제 지표: S&P 500의 움직임은 한국 경제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 경제의 호황은 한국 수출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반대로 미국 경제의 침체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투자 전략: S&P 500 지수의 변동을 분석하여 한국 주식 시장 및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
원본: S&P 500 - 스웨덴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