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Renault
분류: 르노
르노 (Renault, [레노])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 회사로, 1899년 루이 르노 (Louis Renault, [루이 르노])와 그의 형제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르노는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으며, 다양한 모델과 기술 협력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도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1898년, 루이 르노는 최초의 자동차를 제작했습니다. 1899년, 그는 형제들과 함께 "르노 프레르 (Renault Frères, [르노 형제])"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60명의 직원을 고용하며 본격적인 자동차 생산을 시작했습니다. 1903년, 마르셀 르노가 경주 중 사고로 사망하면서 루이는 회사의 지분을 더 많이 갖게 되었고, 1908년에는 셋째 형제 페르낭이 회사를 떠나면서 루이 르노가 단독으로 회사를 이끌게 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회사는 "오토모빌 르노 (Automobiles Renault, [오토모빌 르노])"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루이 르노는 1910년 미국을 방문하여 헨리 포드 (Henry Ford, [헨리 포드])의 컨베이어 벨트 방식을 연구하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르노는 군수 물자 생산에 주력했습니다. 특히, 르노는 세계 최초의 현대적인 형태의 전차인 "르노 FT (Renault FT, [르노 에프티])"를 개발했습니다. 이 전차는 회전 포탑과 후방 엔진 배치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오늘날까지 전차 설계의 기본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르노는 또한 장갑차, 전투기, 탄약 등 다양한 군수 물자를 생산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르노는 민간 생산으로 전환하여 기존 모델을 개량하고 새로운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1930년대에는 센 강 (Seine, [센])의 세갱 섬 (Seguin, [세갱])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는 등 투자를 아끼지 않았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르노 공장은 연합군의 폭격을 받았으며, 독일군을 위한 트럭을 생산했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 1월 16일, 르노는 프랑스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르노는 "르노 4CV (Renault 4CV, [르노 캬트르 쎄브이])"와 같은 인기 모델을 생산하며 회복을 시작했습니다.
1960년대에는 "르노 4 (Renault 4, [르노 캬트르])"와 "르노 16 (Renault 16, [르노 쎄즈])"과 같은 모델을 출시하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또한, 루마니아의 다치아 (Dacia, [다치아])와 같은 회사와 기술 제휴를 맺고,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아메리칸 모터스 (American Motors Corporation, [아메리칸 모터스])와 협력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1970년대에는 볼보 (Volvo, [볼보]) 및 푸조 (Peugeot, [프조])와 함께 PRV 엔진을 개발하여 르노 30 (Renault 30, [르노 트헝트]), 푸조 604 (Peugeot 604, [프조 쒜송 카트르]) 및 볼보 260 (Volvo 260, [볼보 쒜]) 등에 사용했습니다.
1980년대 초, 르노는 품질 문제와 대규모 적자로 인해 위기를 겪었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조르주 베스 (Georges Besse, [조르주 베스])를 새로운 CEO로 임명하고,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그러나 베스는 1986년 프랑스 테러 단체에 의해 암살당했고, 레이몽 레비 (Raymond Lévy, [레이몽 레비])가 그의 뒤를 이어 구조조정을 계속했습니다. 1987년에는 아메리칸 모터스에 대한 지분을 크라이슬러 (Chrysler, [크라이슬러])에 매각하며 북미 시장에서 철수했습니다.
1984년, 르노는 다목적 차량 (MPV)인 "르노 에스파스 (Renault Espace, [르노 에스파스])"를 출시하여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1990년대에는 “클리오 (Clio, [클리오])”, “르노 라구나 (Renault Laguna, [르노 라구나])”, "르노 메간 (Renault Mégane, [르노 메간])"과 같은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며 다시 한번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1992년, 루이 슈바이처 (Louis Schweitzer, [루이 슈바이처])가 CEO로 취임했고, 1993년에는 볼보와의 합병을 추진했지만 무산되었습니다. 1996년에는 프랑스 정부가 소수 지분을 보유한 채로 민영화되었습니다.
르노는 스웨덴에서도 오랫동안 판매되어 온 브랜드로,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기를 얻었습니다. 스웨덴에서는 르노의 실용적인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르노는 한국 시장에서도 활동하고 있으며, 르노삼성자동차 (Renault Samsung Motors, [르노 삼송 모터스])를 통해 차량을 생산하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르노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 맞는 차량을 개발하고 있으며, 르노의 글로벌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