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Red Hot Chili Peppers
분류: 음악 그룹
레드 핫 칠리 페퍼스 (Red Hot Chili Peppers, 이하 RHCP)는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결성된 록 밴드입니다. 펑크 록, 펑크, 힙합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과 역동적인 라이브 퍼포먼스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앤서니 키디스 (Anthony Kiedis)의 보컬, 플리 (Flea)의 베이스, 존 프루시안테 (John Frusciante)의 기타, 채드 스미스 (Chad Smith)의 드럼으로 구성된 라인업이 가장 오랫동안 활동하며, 8,500만 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기록했습니다.
RHCP는 고등학교 동창이었던 앤서니 키디스, 플리, 힐렐 슬로박 (Hillel Slovak), 잭 아이언스 (Jack Irons)에 의해 결성되었습니다. 밴드는 처음에는 "토니 플로우 앤 더 매제스틱 마스터스 오브 메이헴 (Tony Flow and the Majestic Masters of Mayhem)"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으며, 펑크와 펑크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슬로박과 아이언스는 다른 밴드 활동으로 인해 RHCP의 첫 번째 앨범에는 참여하지 못했고, 대신 클리프 마르티네즈 (Cliff Martinez)와 잭 셔먼 (Jack Sherman)이 참여했습니다.
1984년, 데뷔 앨범 Red Hot Chili Peppers를 발표했지만,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1985년에는 조지 클린턴 (George Clinton)의 프로듀싱으로 두 번째 앨범 Freaky Styley를 발표했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1988년, 슬로박이 헤로인 과다 복용으로 사망하고, 아이언스가 밴드를 떠나면서 밴드는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슬로박의 사망 이후, 데이원 맥나이트 (DeWayne McKnight)가 기타리스트로 합류했지만, 곧 존 프루시안테로 교체되었습니다. 드럼에는 D.H. 펠리그로 (D.H. Peligro)가 합류했지만, 채드 스미스로 교체되었습니다. 플리, 키디스, 프루시안테, 스미스로 구성된 라인업은 밴드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함께 활동하며, 1989년 앨범 Mother’s Milk를 발표했습니다.
1990년,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1991년 릭 루빈 (Rick Rubin)의 프로듀싱으로 앨범 Blood Sugar Sex Magik을 발표했습니다. 이 앨범은 밴드의 첫 번째 상업적 성공을 가져다주었고, "Give It Away"와 “Under the Bridge” 등의 히트곡을 배출했습니다. 그러나 1992년, 프루시안테는 밴드의 성공에 부담을 느껴 투어 도중 탈퇴했습니다.
프루시안테의 탈퇴 후, 제인스 어딕션 (Jane’s Addiction)의 데이브 나바로 (Dave Navarro)가 기타리스트로 합류하여 1995년 앨범 One Hot Minute을 발표했습니다. 이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했지만, 이전 앨범만큼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습니다. 1998년, 나바로는 밴드에서 해고되었고, 마약 문제로 재활 치료를 마치고 돌아온 프루시안테가 다시 합류했습니다.
프루시안테가 복귀한 후, 1999년 앨범 Californication을 발표하여 1,6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밴드의 가장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2002년에는 앨범 By the Way를, 2006년에는 더블 앨범 Stadium Arcadium을 발표하며, 밴드는 다시 한번 전성기를 맞이했습니다.
2009년, 프루시안테는 솔로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밴드를 다시 떠났고, 조쉬 클링호퍼 (Josh Klinghoffer)가 기타리스트로 합류했습니다. 2011년, 앨범 I’m with You를 발표하여 18개국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2014년에는 슈퍼볼 XLVIII에서 브루노 마스와 함께 공연했습니다.
2016년에는 앨범 The Getaway를 발표했으며, 릭 루빈이 아닌 다른 프로듀서 (Danger Mouse)와 작업했습니다. 2019년 12월, 프루시안테가 다시 밴드에 합류하면서 클링호퍼는 탈퇴했습니다. 2022년에는 12번째 정규 앨범 Unlimited Love를 발매했습니다.
RHCP는 한국에서도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차례 내한 공연을 통해 한국 팬들과 소통했습니다. 밴드의 음악은 한국의 록 음악 팬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페스티벌과 공연에서 RHCP의 음악을 접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