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Ida Engvoll
분류: 스웨덴 배우
# 이다 엥볼 (Ida Engvoll)
## 개요
이다 에멜린 엥볼 (Ida Emelin Engvoll, 1985년 10월 6일 출생)은 스웨덴의 배우입니다. 그녀는 연극,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TV4의 '레베카 마틴손 (Rebecka Martinsson)' 시리즈에서 주인공을 맡아 널리 알려졌습니다.
## 생애 및 경력
이다 엥볼은 스웨덴 쇠데르함 (Söderhamn) 코뮌의 스코그 교구 (Skogs församling)에서 태어나, 헬싱글란드 (Hälsingland)의 스트로셰라 (Stråtjära)에서 성장했습니다. 그녀는 볼네스 (Bollnäs)의 토르스베리예 (Torsbergsgymnasiet)에서 연극과 음악을 공부했고, 벤델스베리 (Wendelsbergs folkhögskola)와 비르카고르덴 (Birkagårdens)의 클래식 음악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후 스톡홀름 연극학교 (Teaterhögskolan i Stockholm)에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연극을 전공했습니다.
엥볼은 2010년부터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에서 여러 주목할 만한 배역을 맡았으며, 왕립 드라마 극장 (Dramaten)에서도 활동했습니다. 또한 여러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했습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는 TV4에서 방영된 아사 라르손 (Åsa Larsson)의 소설 '레베카 마틴손' 시리즈를 각색한 작품에서 주인공 레베카 마틴손 역을 맡아 연기했습니다.
## 출연 작품
### 영화
* 2010: '벡 - 리반데 베그라브 (Beck – Levande begravd)'
* 2012: '아르네 달: 유로파 블루스 (Arne Dahl: Europa Blues)'
* 2013: '미그 에이에르 잉겐 (Mig äger ingen)'
* 2013: '베스트 푀레 (Bäst före)'
* 2013: '뫼르다렌 류게르 잉게 엔삼 (Mördaren ljuger inte ensam)'
* 2014: '메디시넨 (Medicinen)'
* 2015: '비트 스크레프 (Vitt skräp)'
* 2015: '이 뇌드 엘러 루스트 (I nöd eller lust)'
* 2015: '엔 만 소 헬러 오베 (En man som heter Ove)'
* 2016: '웁 이 데 블루 (Upp i det blå)'
* 2021: '비트 스크레프 (Vitt skräp)'
* 2022: '티스다그스클루벤 (Tisdagsklubben)'
* 2023: '파라디세트 브린네르 (Paradiset brinner)'
* 2024: '엔 델 아브 디그 (En del av dig)'
### 텔레비전
* 2011: '구스타프손 3 트르 (Gustafsson 3 tr)'
* 2011: '안노 1790 (Anno 1790)'
* 2013: '덴 푀르돔데 (Den fördömde)'
* 2013: '피엘바카모르덴: 류세트스 드로트닝 (Fjällbackamorden): Ljusets drottning'
* 2014: '덴 피에르데 만넨 (Den fjärde mannen)'
* 2015: '브론 (Bron)'
* 2015: '더 팀 (The Team)'
* 2015: '코미사리엔 오크 하베트: 빌다 냍테르 (Kommissarien och havet): Vilda nätter'
* 2017-2018: '보너스파밀리옌 (Bonusfamiljen)'
* 2017: '레베카 마틴손 (Rebecka Martinsson)'
* 2017-2019: '오르 티드 에르 누 (Vår tid är nu)'
* 2018: '안드라 오케트 (Andra åket)'
* 2020-2022: '케르레크 오크 아나르키 (Kärlek och anarki)'
* 2022: '리케트 (Riket)'
* 2025: '블린스포르 (Blindspår)'
### 연극
| 연도 | 배역 | 작품 | 연출자 | 극장 |
| :----- | :--------------- | :------------------------------------------------------------------------- | :------------------------- | :----------------------------------- |
| 2009 | | '스웨디시 히스토리 X (Swedish History X)' | 폰투스 스텐셸 (Pontus Stenshäll) | 스톡홀름 연극학교 (Teaterhögskolan i Stockholm) |
| 2010 | 힐데 방겔 (Hilde Wangel) | '건축가 솔네스 (Byggmästare Solness)' | 올레 안데르스 탄베리 (Ole Anders Tandberg)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0 | 베아타 로스메르 (Beata Rosmer) | '로스메르스홀름 (Rosmersholm)' | 올레 안데르스 탄베리 (Ole Anders Tandberg)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0 | 라트융프루 (Råttjungfrun) | '리레 에이올프 (Lille Eyolf)' | 올레 안데르스 탄베리 (Ole Anders Tandberg)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1 | 하퍼 아마티 피트 (Harper Amaty Pitt) | '엔젤스 인 아메리카 (Angels in America)' | 에바 달만 (Eva Dahlman)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1 | 자라 (Zara) | '우트렌스닝 (Utrensning)' | 오사 멜달 (Åsa Melldahl)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2 | 웬디 달링 (Wendy Darling) | '피터 팬 오크 웬디 (Peter Pan och Wendy)' | 피아 요한손 (Pia Johansson)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3 | 둔야샤 (Dunjasja) | '벚꽃 동산 (Körsbärsträdgården)' | 에이리크 스투뵈 (Eirik Stubø) | 스톡홀름 시립 극장 (Stockholms stadsteater) |
| 2016 | 에멜린 (사샤) (Emelin (Sasja)) | '이바노프 (Ivanov)' | 알렉산데르 뫼르크-에이뎀 (Alexander Mørk-Eidem) | 왕립 드라마 극장 (Dramaten) |
## 수상
* 2010: 쇠데르함 코뮌 문화 장학금
* 2011: 로터리 스톡홀름 훔레고르덴 (Rotary Stockholm Humlegården) 문화 장학금
* 2013: 마리안 (Marianne)과 시그바르드 베르나도트 (Sigvard Bernadotte)의 예술상
## 스웨덴 맥락에서의 의미
이다 엥볼은 스웨덴 연극계와 영화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녀는 다양한 배역을 통해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며, 스웨덴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베카 마틴손' 시리즈에서의 성공은 그녀의 인지도를 더욱 높였습니다.
## 한국과의 관련성
이다 엥볼은 한국에서 아직 널리 알려진 배우는 아니지만, 그녀의 작품이 한국에서 상영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될 경우, 한국 관객들에게도 점차 알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출처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
원본: [Ida Engvoll - 스웨덴어 위키백과](https://sv.wikipedia.org/wiki/Ida_Engv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