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Hurula
분류: 스웨덴의 음악가
허룰라 (Hurula)는 스웨덴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펑크 록 음악가입니다. 그는 밴드 Masshysteri (마스히스테리)의 기타리스트, 작사가, 보컬로 활동했으며, 솔로 활동 외에도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허룰라는 강렬한 라이브 퍼포먼스와 독특한 예술 활동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허룰라는 밴드 [[Masshysteri (마스히스테리)]]와 [[The Vicious (더 비셔스)]]에서 기타리스트, 작사가, 보컬로 활동했습니다. 또한 [[Regulations (레귤레이션스)]]와 The Dead Ones의 멤버로도 활동했습니다. 2012년에는 펑크 그룹 Cross를 결성하여 2014년에 데뷔 싱글을 발표했습니다.
허룰라는 Passagerarnas Rockorkester, [[Magnus Ekelund (마그누스 에켈룬드)]] & Stålet, [[INVSN (인베이션)]], [[The Lost Patrol Band (더 로스트 패트롤 밴드)]] 등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허룰라는 2014년, 앨범 “Vi är människorna våra föräldrar varnade oss för” (우리가 부모님이 경고했던 사람들)로 솔로 데뷔했습니다. 이 앨범은 [[Håkan Hellström (호칸 헬스트룀)]]의 프로듀서인 Måns Lundberg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싱글 “Sluta deppa mig” (나를 우울하게 하지 마)와 "22"는 [[Sveriges Radio P3 (스베리에스 라디오 P3)]]의 플레이리스트에 즉시 진입했습니다. 같은 해 12월, 허룰라는 [[Musikhjälpen (무지크옐펜)]]에서 “Stockholm brinner” (스톡홀름 브리너, 스톡홀름이 불탄다)와 EP “Betongbarn” (베통반, 콘크리트 아이들)의 타이틀곡을 공연했습니다.
2015년에는 [[Thåström (토스트룀)]]의 공연 오프닝을 맡았으며, 2016년 2월 19일에는 [[Promoe (프로모)]]와 함께 작업한 “Fult folk” (풀트 폴크, 험한 사람들)을 발표했습니다. 이 곡의 뮤직비디오도 공개되었습니다.
2016년에는 앨범 “Vapen till dom hopplösa” (바펜 틸 돔 호플뢰사, 절망적인 사람들을 위한 무기)를 발표했습니다. 이 앨범은 [[Björn Olsson (비에른 올손)]]이 프로듀싱했으며,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습니다.
2017년 [[P3 Guld (P3 골드)]] 시상식에서 허룰라는 힙합 아티스트 [[Erik Lundin (에릭 룬딘)]]과 함께 “Ny drog” (뉘 드로크, 새로운 마약)과 “Det ba blev så” (데트 바 블레브 소, 그냥 그렇게 됐어)를 공연하여 시상식의 가장 주목받는 무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17년 여름에는 [[SVT (스베르예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Ebbots ark (에보트 아르크)]]에서 [[Cortex (코르텍스)]]의 “Skuggorna kommer” (스구고르나 코메르, 그림자가 온다)를 공연했습니다. 이 곡은 펑크 전설 [[Freddie Wadling (프레디 바들링)]]이 작사했습니다.
2017년 여름에는 [[Veronica Maggio (베로니카 마지오)]]와 [[Weeping Willows (위핑 윌로우스)]]와 함께 “Let’s Spend The Night Togheter” 투어에 참여했습니다.
2018년 1월 12일에는 EP “Oss är allt” (오스 에르 알트, 우리 모두)의 첫 번째 트랙인 “Varje ensam natt” (바리에 엔삼 나트, 매일 밤)를 발표했습니다.
허룰라는 [[Musikhjälpen (무지크옐펜)]] 2014에서 HIV 확산 방지를 위한 캠페인을 지원하기 위해 자신의 피로 그린 그림을 경매에 부쳤습니다. 2018년부터는 자신의 작품을 소셜 미디어에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자신의 앨범 커버와 티셔츠를 소량으로 수작업 스크린 인쇄하여 판매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허룰라는 아직 한국에서 널리 알려진 아티스트는 아니지만, 그의 음악은 펑크 록과 스웨덴 음악에 관심 있는 한국 팬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