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Egypten
분류: 이집트
이집트는 아프리카 북동부에 위치한 국가로, 아랍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도 인구가 많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나일강 유역을 중심으로 고대 문명이 발달했으며, 현재는 관광,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집트는 세계 역사상 최초의 문명 중 하나가 발달한 곳입니다. 기원전 3000년대 후반에 나일강 유역에서 통일 왕국이 형성되었으며, 이후 수많은 왕조가 이집트를 통치했습니다. 이집트의 역사는 다음과 같은 시기로 구분됩니다.
사이스 왕조는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에 의해 멸망했으며, 이후 이집트는 페르시아, 그리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기독교는 이집트에서 처음 전파된 종교 중 하나였으며, 콥트교도들은 현재 이집트의 소수 민족으로 남아 있습니다.
7세기에는 아랍인들이 이슬람교를 전파하며 이집트를 지배했고, 아랍어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250년에는 맘루크 (Mamluk) 군대가 권력을 잡았으며, 오스만 제국이 이집트를 점령한 후에도 맘루크는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했습니다.
19세기에는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시도했으며, 수에즈 운하 (Suezkanalen) 건설 이후에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중요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영국은 수에즈 운하를 보호하기 위해 이집트를 점령했지만, 1922년 독립을 인정하고 1936년에는 일부 군대를 철수했습니다. 1953년에는 공화국이 수립되었습니다.
1950년대 후반, 가말 압델 나세르 (Gamal Abdel Nasser) 대통령은 농업과 산업 국유화를 추진했으며, 소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시리아와 함께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했으나, 시리아가 탈퇴했습니다. 나세르는 1967년 총리 겸 당 대표를 겸임하며 권력을 강화했고, 1970년 사망했습니다. 1972년에는 소련 군사 고문단이 철수했습니다.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이집트는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안와르 사다트 (Anwar Sadat)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평화 협정을 체결했지만, 다른 아랍 국가들의 비판을 받았고 1981년 암살당했습니다. 호스니 무바라크 (Hosni Mubarak)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했습니다.
2011년 아랍의 봄 시위로 인해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물러났습니다. 2012년에는 민주적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무슬림 형제단의 무함마드 무르시 (Muhammad Mursi)가 당선되었습니다. 그러나 무르시 대통령의 권력 강화 시도에 반대하는 시위가 발생했고, 2013년 군부가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했습니다.
2013년 6월, 무르시 정부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 군부는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했습니다. 압델 파타 알시시 (Abd al-Fattah al-Sisi) 육군 참모총장이 무슬림 형제단과 지지자들을 체포했습니다. 이 사건은 서방 국가들 사이에서 쿠데타로, 다른 국가들에서는 혁명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1,4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약 14,000명이 투옥되었습니다. 2014년 1월 국민투표를 통해 새 헌법이 통과되었고, 알시시는 2014년 대통령 선거에서 93% 이상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2014년 6월 8일 취임했습니다.
2018년 9월에는 2013년 시위에 연루된 75명에게 사형이 선고되었고, 600명 이상이 징역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집트는 스웨덴과 역사적으로 다양한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스웨덴은 이집트의 문화 유산 보존을 지원하고 있으며, 관광 및 경제 분야에서도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이집트는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경제,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인 관광객들이 이집트의 유적지를 방문하기도 합니다.
이 페이지는 스웨덴어 위키백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었습니다.